본문 바로가기

귀농이야기

과연 시골텃세일까요? 그냥 텃세입니다.

728x90
반응형

텃세

새로 이사 온 사람이 기존에 살고 있던 사람들에게 받는 괴롭힘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지역 주민들 간의 갈등으로 발생하며, 새로 이사 온 사람이 기존의 문화나 규칙을 따르지 않을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텃세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새로 이사 온 사람에게 마을의 규칙을 강요하거나, 모임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막는 등의 행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 이사 온 사람을 무시하거나, 차별하는 등의 심리적인 압박을 가하기도 합니다.

 

텃세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주민들과 소통하고, 마을의 문화와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마을 주민들과 함께하는 활동에 참여하여 서로 친해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텃세는 지역 주민들 간의 갈등으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민들 간의 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새로 이사 온 사람은 기존의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지자체나 정부에서는 텃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주민들 간의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텃세 문제를 예방하고, 지역 주민들 간의 화합과 평화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K36EEt50BrU?si=ff1eRtYPfTkHLYDQ 

시골사람 변화

지금 부터 10년 기준으로 최근 귀농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10년이 아니라 20년을 기준으로 하면 더 많습니다.

최근 귀농 인구들이 늘면서 시골문화도 도시문화가 많이 들어 왔습니다.

과거 시골은 다방문화가 발전했지만 최근 시골은 전원카페가 많이 만들어 지면서 농민들도 시원한 아메리카노 드십니다.

최근 젊은농부들은 트렉터 작업 하면서 아이스 아메리카노에 음악듣고 작업하는 농부도 있습니다.

 

요즘 세참문화도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가족끼리 일하다 논밭에서 일하다 먹는 세참 문화지만 최근에는 근처 카페에서 세참을 드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여름 농지에서 일하다 시원한 에에컨 아래서 시원한 차와 디저트를 드시고 가시는 농민들이 있습니다.

 

그럼 시골카페가 저럼할까요? 아님니다.

시골카페도 도시처름 테이크아웃 형 저렴한 카페도 있지만 전원카페라 해서 도시보다 비싼 카페가 많습니다.

도시에 유명한 별다방 보다 비싼 카페가 대부분입니다.

최근 웃지 못한일이 시골아이들이 도시가서 카페 음료가 싸다고 합니다.

이렇게 시골도 도시문화가 적용되며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시골텃세가 아닌 그냥 텃세

시골터세가 시골에서 일어나는 텃세이지 시골사람들이 만든 텃세는 아님니다.

시골에서 텃세는 진로방해나 민원, 왕따등 여러가지 있습니다.

과연 도시는 텃세가 없을 까요?

도시도 층간소임, 주차문제, 민원등 여러가지 주민간에 갈등이 있습니다.

이것 또한 텃세입니다.

도시에 모든 사람이 텃세를 하는 것이 아닌 것 처럼 시골도 모든사람이 텃세를 하지 않습니다.

그냥 그런 사람을 만난 것입니다.

시골텃세가 아니고 텃세를 하는 사람을 만나 텃세를 하는 그냥 텃세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